● 習坎은 有孚하여 維心亨이니 行하면 有尙이리라
● 彖曰 習坎은 重險也니 水流而不盈하며 行險而不失其信이니 ▾維心亨은 乃以剛中也요 ▾行有尙은 往有功也라 ▾天險은 不可升也요 地險은 山川丘陵也니 王公이 設險하여 以守其國하나니 險之時用이 大矣哉라
● 象曰 水洊至習坎이니 君子以하여 常德行하며 習敎事하나니라
● 初六은 習坎에 入于坎窞이니 凶하니라
● 象曰 習坎入坎은 失道라 凶也라
● 九二는 坎에 有險하나 求를 小得하리라
● 象曰 求小得은 未出中也일새라
● 六三은 來之에 坎坎하며 險에 且枕하여 入于坎窞이니 勿用이니라
● 象曰 來之坎坎은 終无功也리라
● 六四는 樽酒와 簋貳를 用缶하고 納約自牖면 終无咎하리라
● 象曰 樽酒簋貳는 剛柔際也일새라
● 九五는 坎不盈하니 祗旣平하면 无咎리라
● 象曰 坎不盈은 中이 未大也라
● 上六은 係用徽纆하여 寘于叢棘하여 三歲라도 不得이니 凶하니라
● 象曰 上六失道는 凶三歲也리라
● 彖曰 習坎은 重險也니 水流而不盈하며 行險而不失其信이니 ▾維心亨은 乃以剛中也요 ▾行有尙은 往有功也라 ▾天險은 不可升也요 地險은 山川丘陵也니 王公이 設險하여 以守其國하나니 險之時用이 大矣哉라
● 象曰 水洊至習坎이니 君子以하여 常德行하며 習敎事하나니라
● 初六은 習坎에 入于坎窞이니 凶하니라
● 象曰 習坎入坎은 失道라 凶也라
● 九二는 坎에 有險하나 求를 小得하리라
● 象曰 求小得은 未出中也일새라
● 六三은 來之에 坎坎하며 險에 且枕하여 入于坎窞이니 勿用이니라
● 象曰 來之坎坎은 終无功也리라
● 六四는 樽酒와 簋貳를 用缶하고 納約自牖면 終无咎하리라
● 象曰 樽酒簋貳는 剛柔際也일새라
● 九五는 坎不盈하니 祗旣平하면 无咎리라
● 象曰 坎不盈은 中이 未大也라
● 上六은 係用徽纆하여 寘于叢棘하여 三歲라도 不得이니 凶하니라
● 象曰 上六失道는 凶三歲也리라
● 習坎은 有孚하여 維心亨이니 行하면 有尙이리라
● 彖曰 習坎은 重險也니 水流而不盈하며 行險而不失其信이니 ▾維心亨은 乃以剛中也요 ▾行有尙은 往有功也라 ▾天險은 不可升也요 地險은 山川丘陵也니 王公이 設險하여 以守其國하나니 險之時用이 大矣哉라
● 象曰 水洊至習坎이니 君子以하여 常德行하며 習敎事하나니라
● 初六은 習坎에 入于坎窞이니 凶하니라
● 象曰 習坎入坎은 失道라 凶也라
● 九二는 坎에 有險하나 求를 小得하리라
● 象曰 求小得은 未出中也일새라
● 六三은 來之에 坎坎하며 險에 且枕하여 入于坎窞이니 勿用이니라
● 象曰 來之坎坎은 終无功也리라
● 六四는 樽酒와 簋貳를 用缶하고 納約自牖면 終无咎하리라
● 象曰 樽酒簋貳는 剛柔際也일새라
● 九五는 坎不盈하니 祗旣平하면 无咎리라
● 象曰 坎不盈은 中이 未大也라
● 上六은 係用徽纆하여 寘于叢棘하여 三歲라도 不得이니 凶하니라
● 象曰 上六失道는 凶三歲也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