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 是故로 君子 有大道하니 必忠信以得之하고 驕泰以失之니라
君子는 以位言之라 道는 謂居其位而脩己治人之術이라 發己自盡이 爲忠이오 循物無違가 謂信이라 驕者는 矜高요 泰者는 侈肆라 此는 因上所引文王康誥之意而言이라 章內에 三言得失而語益加切하니 蓋至此而天理存亡之幾決矣라
生財 有大道하니 生之者衆하고 食之者寡하며 爲之者疾하고 用之者舒하면 則財恒足矣리라
呂氏曰國無遊民이면 則生者衆矣요 朝無幸位면 則食者寡矣요 不奪農時면 則爲之疾矣요 量入爲出이면 則用之舒矣라 愚는 按 此는 因有土有財而言하야 以明足國之道在乎務本而節用이요 非必外本內末而後에 財可聚也라 自此로 以至終篇이 皆一意也라
仁者는 以財發身하고 不仁者는 以身發財니라
發은 猶起也라 仁者는 散財以得民하고 不仁者는 亡身以殖貨라
未有上好仁而下不好義者也니 未有好義其事不終者也며 未有府庫財 非其財者也니라
上이 好仁以愛其下면 則下好義以忠其上이니 所以事必有終이요 而府庫之財 無悖出之患也라
君子는 以位言之라 道는 謂居其位而脩己治人之術이라 發己自盡이 爲忠이오 循物無違가 謂信이라 驕者는 矜高요 泰者는 侈肆라 此는 因上所引文王康誥之意而言이라 章內에 三言得失而語益加切하니 蓋至此而天理存亡之幾決矣라
生財 有大道하니 生之者衆하고 食之者寡하며 爲之者疾하고 用之者舒하면 則財恒足矣리라
呂氏曰國無遊民이면 則生者衆矣요 朝無幸位면 則食者寡矣요 不奪農時면 則爲之疾矣요 量入爲出이면 則用之舒矣라 愚는 按 此는 因有土有財而言하야 以明足國之道在乎務本而節用이요 非必外本內末而後에 財可聚也라 自此로 以至終篇이 皆一意也라
仁者는 以財發身하고 不仁者는 以身發財니라
發은 猶起也라 仁者는 散財以得民하고 不仁者는 亡身以殖貨라
未有上好仁而下不好義者也니 未有好義其事不終者也며 未有府庫財 非其財者也니라
上이 好仁以愛其下면 則下好義以忠其上이니 所以事必有終이요 而府庫之財 無悖出之患也라
"/> 29. 是故로 君子 有大道하니 必忠信以得之하고 驕泰以失之니라君子는 以位言之라 道는 謂居其位而脩己治人之術이라 發己自盡…君子는 以位言之라 道는 謂居其位而脩己治人之術이라 發己自盡이 爲忠이오 循物無違가 謂信이라 驕者는 矜高요 泰者는 侈肆라 此는 因上所引文王康誥之意而言이라 章內에 三言得失而語益加切하니 蓋至此而天理存亡之幾決矣라
生財 有大道하니 生之者衆하고 食之者寡하며 爲之者疾하고 用之者舒하면 則財恒足矣리라
呂氏曰國無遊民이면 則生者衆矣요 朝無幸位면 則食者寡矣요 不奪農時면 則爲之疾矣요 量入爲出이면 則用之舒矣라 愚는 按 此는 因有土有財而言하야 以明足國之道在乎務本而節用이요 非必外本內末而後에 財可聚也라 自此로 以至終篇이 皆一意也라
仁者는 以財發身하고 不仁者는 以身發財니라
發은 猶起也라 仁者는 散財以得民하고 不仁者는 亡身以殖貨라
未有上好仁而下不好義者也니 未有好義其事不終者也며 未有府庫財 非其財者也니라
上이 好仁以愛其下면 則下好義以忠其上이니 所以事必有終이요 而府庫之財 無悖出之患也라
"/> 29.(강의) 是故로 君子 有大道하니 必忠信以得之하고 驕泰以失之니라君子는&nbs…29. 是故로 君子 有大道하니 必忠信以得之하고 驕泰以失之니라
君子는 以位言之라 道는 謂居其位而脩己治人之術이라 發己自盡이 爲忠이오 循物無違가 謂信이라 驕者는 矜高요 泰者는 侈肆라 此는 因上所引文王康誥之意而言이라 章內에 三言得失而語益加切하니 蓋至此而天理存亡之幾決矣라
生財 有大道하니 生之者衆하고 食之者寡하며 爲之者疾하고 用之者舒하면 則財恒足矣리라
呂氏曰國無遊民이면 則生者衆矣요 朝無幸位면 則食者寡矣요 不奪農時면 則爲之疾矣요 量入爲出이면 則用之舒矣라 愚는 按 此는 因有土有財而言하야 以明足國之道在乎務本而節用이요 非必外本內末而後에 財可聚也라 自此로 以至終篇이 皆一意也라
仁者는 以財發身하고 不仁者는 以身發財니라
發은 猶起也라 仁者는 散財以得民하고 不仁者는 亡身以殖貨라
未有上好仁而下不好義者也니 未有好義其事不終者也며 未有府庫財 非其財者也니라
上이 好仁以愛其下면 則下好義以忠其上이니 所以事必有終이요 而府庫之財 無悖出之患也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