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 是故로 言悖而出者는 亦悖而入하고 貨悖而入者는 亦悖而出이니라
悖는 逆也라 此는 以言之出入으로 明貨之出入也라 自先謹乎德以下로 至此는 又因財貨하야 以明能絜矩與不能者之得失也라
康誥에 曰 惟命은 不于常이라하니 道善則得之하고 不善則失之矣니라
道는 言也라 因上文引文王詩之意而申言之하니 其丁寧反覆之意 益深切矣로다
楚書에 曰 楚國은 無以爲寶요 惟善을 以爲寶라하니라
楚書은 楚語라 言不寶金玉而寶善人也라
舅犯이 曰 亡人은 無以爲寶요 仁親을 以爲寶라하니라
舅犯은 晉文公舅狐偃이니 字는 子犯이라 亡人은 文公이 時爲公子하야 出亡在外也라 仁은 愛也니 事見檀弓하다 此兩節은 又明不外本而內末之意라
秦誓에 曰 若有一个臣이 斷斷兮오 無他技나 其心이 休休焉혼디 其如有容焉이라 人之有技를 若己有之하며 人之彦聖을 其心好之 不啻若自其口出이면 寔能容之라 以能保我子孫黎民이니 尙亦有利哉인저
悖는 逆也라 此는 以言之出入으로 明貨之出入也라 自先謹乎德以下로 至此는 又因財貨하야 以明能絜矩與不能者之得失也라
康誥에 曰 惟命은 不于常이라하니 道善則得之하고 不善則失之矣니라
道는 言也라 因上文引文王詩之意而申言之하니 其丁寧反覆之意 益深切矣로다
楚書에 曰 楚國은 無以爲寶요 惟善을 以爲寶라하니라
楚書은 楚語라 言不寶金玉而寶善人也라
舅犯이 曰 亡人은 無以爲寶요 仁親을 以爲寶라하니라
舅犯은 晉文公舅狐偃이니 字는 子犯이라 亡人은 文公이 時爲公子하야 出亡在外也라 仁은 愛也니 事見檀弓하다 此兩節은 又明不外本而內末之意라
秦誓에 曰 若有一个臣이 斷斷兮오 無他技나 其心이 休休焉혼디 其如有容焉이라 人之有技를 若己有之하며 人之彦聖을 其心好之 不啻若自其口出이면 寔能容之라 以能保我子孫黎民이니 尙亦有利哉인저
"/> 27. 是故로 言悖而出者는 亦悖而入하고 貨悖而入者는 亦悖而出이니라悖는 逆也라 此는 以言之出入으로 明貨之出入也라 自先謹…悖는 逆也라 此는 以言之出入으로 明貨之出入也라 自先謹乎德以下로 至此는 又因財貨하야 以明能絜矩與不能者之得失也라
康誥에 曰 惟命은 不于常이라하니 道善則得之하고 不善則失之矣니라
道는 言也라 因上文引文王詩之意而申言之하니 其丁寧反覆之意 益深切矣로다
楚書에 曰 楚國은 無以爲寶요 惟善을 以爲寶라하니라
楚書은 楚語라 言不寶金玉而寶善人也라
舅犯이 曰 亡人은 無以爲寶요 仁親을 以爲寶라하니라
舅犯은 晉文公舅狐偃이니 字는 子犯이라 亡人은 文公이 時爲公子하야 出亡在外也라 仁은 愛也니 事見檀弓하다 此兩節은 又明不外本而內末之意라
秦誓에 曰 若有一个臣이 斷斷兮오 無他技나 其心이 休休焉혼디 其如有容焉이라 人之有技를 若己有之하며 人之彦聖을 其心好之 不啻若自其口出이면 寔能容之라 以能保我子孫黎民이니 尙亦有利哉인저
"/> 27.(강의) 是故로 言悖而出者는 亦悖而入하고 貨悖而入者는 亦悖而出이니라悖는&nb…27. 是故로 言悖而出者는 亦悖而入하고 貨悖而入者는 亦悖而出이니라
悖는 逆也라 此는 以言之出入으로 明貨之出入也라 自先謹乎德以下로 至此는 又因財貨하야 以明能絜矩與不能者之得失也라
康誥에 曰 惟命은 不于常이라하니 道善則得之하고 不善則失之矣니라
道는 言也라 因上文引文王詩之意而申言之하니 其丁寧反覆之意 益深切矣로다
楚書에 曰 楚國은 無以爲寶요 惟善을 以爲寶라하니라
楚書은 楚語라 言不寶金玉而寶善人也라
舅犯이 曰 亡人은 無以爲寶요 仁親을 以爲寶라하니라
舅犯은 晉文公舅狐偃이니 字는 子犯이라 亡人은 文公이 時爲公子하야 出亡在外也라 仁은 愛也니 事見檀弓하다 此兩節은 又明不外本而內末之意라
秦誓에 曰 若有一个臣이 斷斷兮오 無他技나 其心이 休休焉혼디 其如有容焉이라 人之有技를 若己有之하며 人之彦聖을 其心好之 不啻若自其口出이면 寔能容之라 以能保我子孫黎民이니 尙亦有利哉인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