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 人之有技를 媢疾以惡之하며 人之彦聖을 而違之하야 俾不通이면 寔不能容이라 以不能保我子孫黎民이니 亦曰殆哉인저
秦誓는 周書라 斷斷은 誠一之貌라 彦는 美士也오 聖은 通明也라 尙은 庶幾也라 媢는 忌也라 違는 拂戾也라 殆는 危也라
唯仁人이아 放流之하야 迸諸四夷하야 不與同中國하나니 此謂唯仁人이아 爲能愛人하며 能惡人이니라
迸은 猶逐也라 言有此媢疾之人하야 妨賢而病國이면 則仁人이 必深惡而痛絶之하나니 以其至公無私라 故로 能得好惡之正이 如此也라
見賢而不能擧하며 擧而不能先이 命也오 見不善而不能退하며 退而不能遠이 過也니라
命은 鄭氏云當作慢이라하고 程子云當作怠라하시니 未詳孰是라 若此者는 知所愛惡矣로되 而未能盡愛惡之道하니 蓋君子而未仁者也라
好人之所惡하며 惡人之所好를 是謂拂人之性이라 菑必逮夫身이니라
拂은 逆也라 好善而惡惡이 人之性也니 至於拂人之性이면 則不仁之甚者也라 自秦誓로 至此는 又皆以申言好惡公私之極하야 以明上文所引南山有臺와 節南山之意라
秦誓는 周書라 斷斷은 誠一之貌라 彦는 美士也오 聖은 通明也라 尙은 庶幾也라 媢는 忌也라 違는 拂戾也라 殆는 危也라
唯仁人이아 放流之하야 迸諸四夷하야 不與同中國하나니 此謂唯仁人이아 爲能愛人하며 能惡人이니라
迸은 猶逐也라 言有此媢疾之人하야 妨賢而病國이면 則仁人이 必深惡而痛絶之하나니 以其至公無私라 故로 能得好惡之正이 如此也라
見賢而不能擧하며 擧而不能先이 命也오 見不善而不能退하며 退而不能遠이 過也니라
命은 鄭氏云當作慢이라하고 程子云當作怠라하시니 未詳孰是라 若此者는 知所愛惡矣로되 而未能盡愛惡之道하니 蓋君子而未仁者也라
好人之所惡하며 惡人之所好를 是謂拂人之性이라 菑必逮夫身이니라
拂은 逆也라 好善而惡惡이 人之性也니 至於拂人之性이면 則不仁之甚者也라 自秦誓로 至此는 又皆以申言好惡公私之極하야 以明上文所引南山有臺와 節南山之意라
"/> 28. 人之有技를 媢疾以惡之하며 人之彦聖을 而違之하야 俾不通이면 寔不能容이라 以不能保我子孫黎民이니 亦曰殆哉인저秦誓는 …秦誓는 周書라 斷斷은 誠一之貌라 彦는 美士也오 聖은 通明也라 尙은 庶幾也라 媢는 忌也라 違는 拂戾也라 殆는 危也라
唯仁人이아 放流之하야 迸諸四夷하야 不與同中國하나니 此謂唯仁人이아 爲能愛人하며 能惡人이니라
迸은 猶逐也라 言有此媢疾之人하야 妨賢而病國이면 則仁人이 必深惡而痛絶之하나니 以其至公無私라 故로 能得好惡之正이 如此也라
見賢而不能擧하며 擧而不能先이 命也오 見不善而不能退하며 退而不能遠이 過也니라
命은 鄭氏云當作慢이라하고 程子云當作怠라하시니 未詳孰是라 若此者는 知所愛惡矣로되 而未能盡愛惡之道하니 蓋君子而未仁者也라
好人之所惡하며 惡人之所好를 是謂拂人之性이라 菑必逮夫身이니라
拂은 逆也라 好善而惡惡이 人之性也니 至於拂人之性이면 則不仁之甚者也라 自秦誓로 至此는 又皆以申言好惡公私之極하야 以明上文所引南山有臺와 節南山之意라
"/> 28.(강의) 人之有技를 媢疾以惡之하며 人之彦聖을 而違之하야 俾不通이면 …28. 人之有技를 媢疾以惡之하며 人之彦聖을 而違之하야 俾不通이면 寔不能容이라 以不能保我子孫黎民이니 亦曰殆哉인저
秦誓는 周書라 斷斷은 誠一之貌라 彦는 美士也오 聖은 通明也라 尙은 庶幾也라 媢는 忌也라 違는 拂戾也라 殆는 危也라
唯仁人이아 放流之하야 迸諸四夷하야 不與同中國하나니 此謂唯仁人이아 爲能愛人하며 能惡人이니라
迸은 猶逐也라 言有此媢疾之人하야 妨賢而病國이면 則仁人이 必深惡而痛絶之하나니 以其至公無私라 故로 能得好惡之正이 如此也라
見賢而不能擧하며 擧而不能先이 命也오 見不善而不能退하며 退而不能遠이 過也니라
命은 鄭氏云當作慢이라하고 程子云當作怠라하시니 未詳孰是라 若此者는 知所愛惡矣로되 而未能盡愛惡之道하니 蓋君子而未仁者也라
好人之所惡하며 惡人之所好를 是謂拂人之性이라 菑必逮夫身이니라
拂은 逆也라 好善而惡惡이 人之性也니 至於拂人之性이면 則不仁之甚者也라 自秦誓로 至此는 又皆以申言好惡公私之極하야 以明上文所引南山有臺와 節南山之意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