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강의) 所惡於上으로 毋以使下하며 所惡於下로 毋以事上하며 所惡於前으로 毋以先後하며 所惡於後로 毋以從前하며 所惡於右로 毋以交於左하며 所惡於左로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니라
此는 覆解上文絜矩二字之義라 如不欲上之無禮於我어든 則必以此度下之心하야 而亦不敢以此無禮使之하며 不欲下之不忠於我어든 則必以此度上之心하야 而亦不敢以此不忠事之라 至於前後左右에 無不皆然이면 則身之所處上下四旁에 長短廣狹이 彼此如一하야 而無不方矣리니 彼同有是心而興起焉者又豈有一夫之不獲哉리오 所操者約이나 而所及者廣하니 此는 平天下之要道也라 故로 章內之意가 皆自此而推之니라
詩云 樂只君子요 民之父母라하니 民之所好를 好之하며 民之所惡를 惡之 此之謂民之父母니라
詩는 小雅南山有臺之篇이라 只는 語助辭라 言能絜矩而以民心爲己心이면 則是는 愛民이 如子하야 而民이 愛之를 如父母矣리라
詩云節彼南山이여 維石巖巖이로다 赫赫師尹이여 民具爾瞻이라하니 有國者 不可以不愼이니 辟則爲天下僇矣니라
詩는 小雅節南山之篇이라 節은 截然高大貌라 師尹는 周太師尹氏也라 具는 俱也요 辟은 偏也라 言在上者는 人所瞻仰이니 不可不謹이라 若不能絜矩하야 而好惡徇於一己之偏이면 則身弑國亡하야 爲天下之大戮矣라
此는 覆解上文絜矩二字之義라 如不欲上之無禮於我어든 則必以此度下之心하야 而亦不敢以此無禮使之하며 不欲下之不忠於我어든 則必以此度上之心하야 而亦不敢以此不忠事之라 至於前後左右에 無不皆然이면 則身之所處上下四旁에 長短廣狹이 彼此如一하야 而無不方矣리니 彼同有是心而興起焉者又豈有一夫之不獲哉리오 所操者約이나 而所及者廣하니 此는 平天下之要道也라 故로 章內之意가 皆自此而推之니라
詩云 樂只君子요 民之父母라하니 民之所好를 好之하며 民之所惡를 惡之 此之謂民之父母니라
詩는 小雅南山有臺之篇이라 只는 語助辭라 言能絜矩而以民心爲己心이면 則是는 愛民이 如子하야 而民이 愛之를 如父母矣리라
詩云節彼南山이여 維石巖巖이로다 赫赫師尹이여 民具爾瞻이라하니 有國者 不可以不愼이니 辟則爲天下僇矣니라
詩는 小雅節南山之篇이라 節은 截然高大貌라 師尹는 周太師尹氏也라 具는 俱也요 辟은 偏也라 言在上者는 人所瞻仰이니 不可不謹이라 若不能絜矩하야 而好惡徇於一己之偏이면 則身弑國亡하야 爲天下之大戮矣라
"/> 25. 所惡於上으로 毋以使下하며 所惡於下로 毋以事上하며 所惡於前으로 毋以先後하며 所惡於後로 毋以從前하며 所惡於右로 毋…此는 覆解上文絜矩二字之義라 如不欲上之無禮於我어든 則必以此度下之心하야 而亦不敢以此無禮使之하며 不欲下之不忠於我어든 則必以此度上之心하야 而亦不敢以此不忠事之라 至於前後左右에 無不皆然이면 則身之所處上下四旁에 長短廣狹이 彼此如一하야 而無不方矣리니 彼同有是心而興起焉者又豈有一夫之不獲哉리오 所操者約이나 而所及者廣하니 此는 平天下之要道也라 故로 章內之意가 皆自此而推之니라
詩云 樂只君子요 民之父母라하니 民之所好를 好之하며 民之所惡를 惡之 此之謂民之父母니라
詩는 小雅南山有臺之篇이라 只는 語助辭라 言能絜矩而以民心爲己心이면 則是는 愛民이 如子하야 而民이 愛之를 如父母矣리라
詩云節彼南山이여 維石巖巖이로다 赫赫師尹이여 民具爾瞻이라하니 有國者 不可以不愼이니 辟則爲天下僇矣니라
詩는 小雅節南山之篇이라 節은 截然高大貌라 師尹는 周太師尹氏也라 具는 俱也요 辟은 偏也라 言在上者는 人所瞻仰이니 不可不謹이라 若不能絜矩하야 而好惡徇於一己之偏이면 則身弑國亡하야 爲天下之大戮矣라
"/> 25.(강의) 所惡於上으로 毋以使下하며 所惡於下로 毋以事上하며 所惡於前으로&nbs…25.(강의) 所惡於上으로 毋以使下하며 所惡於下로 毋以事上하며 所惡於前으로 毋以先後하며 所惡於後로 毋以從前하며 所惡於右로 毋以交於左하며 所惡於左로 毋以交於右 此之謂絜矩之道니라
此는 覆解上文絜矩二字之義라 如不欲上之無禮於我어든 則必以此度下之心하야 而亦不敢以此無禮使之하며 不欲下之不忠於我어든 則必以此度上之心하야 而亦不敢以此不忠事之라 至於前後左右에 無不皆然이면 則身之所處上下四旁에 長短廣狹이 彼此如一하야 而無不方矣리니 彼同有是心而興起焉者又豈有一夫之不獲哉리오 所操者約이나 而所及者廣하니 此는 平天下之要道也라 故로 章內之意가 皆自此而推之니라
詩云 樂只君子요 民之父母라하니 民之所好를 好之하며 民之所惡를 惡之 此之謂民之父母니라
詩는 小雅南山有臺之篇이라 只는 語助辭라 言能絜矩而以民心爲己心이면 則是는 愛民이 如子하야 而民이 愛之를 如父母矣리라
詩云節彼南山이여 維石巖巖이로다 赫赫師尹이여 民具爾瞻이라하니 有國者 不可以不愼이니 辟則爲天下僇矣니라
詩는 小雅節南山之篇이라 節은 截然高大貌라 師尹는 周太師尹氏也라 具는 俱也요 辟은 偏也라 言在上者는 人所瞻仰이니 不可不謹이라 若不能絜矩하야 而好惡徇於一己之偏이면 則身弑國亡하야 爲天下之大戮矣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