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謙은 亨하니 君子有終이니라
● 彖曰 謙亨은 天道下[濟][際]而光明하고 地道卑而上行이라 ▾天道는 虧盈而益謙하고 ▾地道는 變盈而流謙하고 ▾鬼神은 害盈而福謙하고 ▾人道는 惡盈而好謙하나니 ▾謙은 尊而光하고 卑而不可踰니 君子之終也라
● 象曰 地中有山이 謙이니 君子以하여 裒多益寡하여 稱物平施하나니라
● 初六은 謙謙君子니 用涉大川이라도 吉하니라
● 象曰 謙謙君子는 卑以自牧也라
● 六二는 鳴謙이니 貞하고 吉하니라
● 象曰 鳴謙貞吉은 中心得也라
● 九三은 勞謙이니 君子有終이니 吉하니라
● 象曰 勞謙君子는 萬民이 服也라
● 六四는 无不利撝謙이니라
● 象曰 无不利撝謙은 不違則也라
● 六五는 不富以其隣이니 利用侵伐이니 无不利하리라
● 象曰 利用侵伐은 征不服也라
● 上六은 鳴謙이니 利用行師하여 征邑國이니라
● 象曰 鳴謙은 志未得也니 可用行師하여 征邑國也라
● 彖曰 謙亨은 天道下[濟][際]而光明하고 地道卑而上行이라 ▾天道는 虧盈而益謙하고 ▾地道는 變盈而流謙하고 ▾鬼神은 害盈而福謙하고 ▾人道는 惡盈而好謙하나니 ▾謙은 尊而光하고 卑而不可踰니 君子之終也라
● 象曰 地中有山이 謙이니 君子以하여 裒多益寡하여 稱物平施하나니라
● 初六은 謙謙君子니 用涉大川이라도 吉하니라
● 象曰 謙謙君子는 卑以自牧也라
● 六二는 鳴謙이니 貞하고 吉하니라
● 象曰 鳴謙貞吉은 中心得也라
● 九三은 勞謙이니 君子有終이니 吉하니라
● 象曰 勞謙君子는 萬民이 服也라
● 六四는 无不利撝謙이니라
● 象曰 无不利撝謙은 不違則也라
● 六五는 不富以其隣이니 利用侵伐이니 无不利하리라
● 象曰 利用侵伐은 征不服也라
● 上六은 鳴謙이니 利用行師하여 征邑國이니라
● 象曰 鳴謙은 志未得也니 可用行師하여 征邑國也라
● 謙은 亨하니 君子有終이니라
● 彖曰 謙亨은 天道下[濟][際]而光明하고 地道卑而上行이라 ▾天道는 虧盈而益謙하고 ▾地道는 變盈而流謙하고 ▾鬼神은 害盈而福謙하고 ▾人道는 惡盈而好謙하나니 ▾謙은 尊而光하고 卑而不可踰니 君子之終也라
● 象曰 地中有山이 謙이니 君子以하여 裒多益寡하여 稱物平施하나니라
● 初六은 謙謙君子니 用涉大川이라도 吉하니라
● 象曰 謙謙君子는 卑以自牧也라
● 六二는 鳴謙이니 貞하고 吉하니라
● 象曰 鳴謙貞吉은 中心得也라
● 九三은 勞謙이니 君子有終이니 吉하니라
● 象曰 勞謙君子는 萬民이 服也라
● 六四는 无不利撝謙이니라
● 象曰 无不利撝謙은 不違則也라
● 六五는 不富以其隣이니 利用侵伐이니 无不利하리라
● 象曰 利用侵伐은 征不服也라
● 上六은 鳴謙이니 利用行師하여 征邑國이니라
● 象曰 鳴謙은 志未得也니 可用行師하여 征邑國也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