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성자료
음성자료
음성자료
>음성자료
03. 공손추장구상(公孫丑章句上)
성독자 : 오동춘
성독듣기
번호 :
SCR_MJ_ODC_0025
원문
02. 公孫丑問曰 夫子加齊之卿相하사 得行道焉하시면 雖由此霸王이라도 不異矣리니 如此則動心이릿가 否乎잇가 孟子 曰 否라 我는 四十에 不動心호라 / 曰 若是則夫子過孟賁이 遠矣로소이다 曰 是不難하니 告子도 先我不動心하니라 / 曰 不動心이 有道乎잇가 曰 有하니라 / 北宮츪之養勇也는 不膚撓하며 不目逃하여 思以一毫挫於人이어든 若撻之於市朝하여 不受於褐寬博하여 亦不受於萬乘之君하여 視刺萬乘之君하대 若刺褐夫하여 無嚴諸侯하여 惡聲至어든 必反之하니라 / 孟施舍之所養勇也는 曰 視不勝하대 猶勝也로니 量敵而後進하며 慮勝而後會하면 是는 畏三軍者也니 舍豈能爲必勝哉리오 能無懼而已矣라하니라 / 孟施舍는 似曾子하고 北宮黝는 似子夏하니 夫二子之勇이 未知其孰賢이어니와 然而孟施舍는 守約也니라 / 昔者에 曾子謂子襄曰 子好勇乎아 吾嘗聞大勇於夫子矣로니 自反而不縮이면 雖褐寬博이라도 吾不惴焉이리오 自反而縮이면 雖千萬人이라도 吾往矣라하시니라 / 孟施舍之守는 氣라 又不如曾子之守約也니라 / 曰 敢問夫子之不動心과 與告子之不動心을 可得聞與잇가 告子曰 不得於言이어든 勿求於心하며 不得於心이어든 勿求於氣라하니 不得於心이어든 勿求於氣는 可커니와 不得於言이어든 勿求於心은 不可하니 夫志는 氣之帥也오 氣는 體之充也니 夫志至焉오 氣次焉이라 故로 曰 持其志오도 無暴其氣라하니라 / 旣曰 志至焉이오 氣次焉이라하시고 又曰 持其志오도 無暴其氣者는 何也잇고 曰 志壹則動氣하고 氣壹則動志也니 今夫蹶者趨者 是氣也而反動其心이니라 / 敢問 夫子는 惡乎長이시니잇고 曰我는 知言하며 我는 善養吾의 浩然之氣하노라 / 敢問 何謂浩然之氣니잇고 曰 難言也니라 / 其爲氣也 至大至剛하니 以直養而無害면 則塞于天地之間이니라 / 其爲氣也 配義與道하니 無是면 餒也니라 / 是集義所生者라 非義襲而取之也니 行有不慊於心이면 則餒矣라 我故로曰 告子未嘗知義라하노니 以其外之也일새니라 / 必有事焉而勿正하여 心勿忘하며 勿助長也하여 無若宋人然이어다 宋人이 有閔其苗之不長而揠之者러니 芒芒然歸하여 謂其人曰 今日에 病矣로라 予助苗長矣로라하여늘 其子趨而往視之하니 苗則槁矣러라 天下之不助苗長者寡矣니 以爲無益而舍之者는 不耘苗者也오 助之長者는 揠苗者也니 非徒無益이라 而又害之니라 / 何謂知言이니잇고 曰 詖辭에 知其所蔽하며 淫辭에 知其所陷하며 邪辭에 知其所離하며 遁辭에 知其所窮이니 生於其心하여 害於其政하며 發於其政하여 害於其事하나니 聖人이 復起라도 必從吾言矣시리라 / 宰我, 子貢은 善爲說辭하고 冉牛, 閔子, 顔淵은 善言德行이러니 孔子兼之하시되 曰 我於辭命則不能也로라하시니 然則夫子는 旣職矣乎신저 / 曰 惡라 是何言也오 昔者에 子貢問於孔子曰 夫子는 聖矣乎신저 孔子曰聖則吾不能이어니와 我는 學不厭而敎不倦也로라 子貢曰 學不厭은 智也오 敎不倦은 仁也니 仁且智하시니 夫子는 旣聖矣신저하니 夫聖은 孔子도 不居하시니 是何言也오 / 昔者에 竊聞之하니 子夏, 子游, 子張은 皆有聖人之一體하고 冉牛, 閔子, 顔淵은 則具體而微라하니 敢問所安하노이다 / 曰 姑舍是하라 / 曰 伯夷, 伊尹은 何如하니잇고 曰 不同道하니 非其君不事하며 非其民不使하여 治則進하고 亂則退는 伯夷也오 何事非君이며 何使非民이리오하여 治亦進하며 亂亦進은 伊尹也오 可以仕則仕하며 可以止則止하며 可以久則久하며 可以速則速은 孔子也시니 皆古聖人也라 吾未能有行焉이어니와 乃所願則學孔子也로라 / 伯夷, 伊尹이 於孔子에 若是班乎잇가 曰 否라 自有生民以來로 未有孔子也시니라 / 曰 然則有同與잇가 曰 有하니 得百里之地而君之면 皆能以朝諸侯有天下어니와 行一不義하며 殺一不辜而得天下는 皆不爲也리니 是則同하니라 / 曰 敢問其所以異하노이다 曰 宰我, 子貢, 有若은 智足以知聖人이니 汚不至阿其所好니라 / 宰我曰 以予觀於夫子컨대 賢於堯舜이 遠矣로다 / 子貢曰 見其禮而知其政하며 聞其樂而知其德이니 由百世之後하여 等百世之王컨대 莫之能違也니 自生民以來로 未有夫子也시니라 / 有若曰 豈惟民哉리오 麒麟之於走獸와 鳳凰之於飛鳥와 泰山之於丘垤과 河海之於行潦에 類也며 聖人之於民에 亦類也시니 出於其類하며 拔乎其萃나 自生民以來로 未有盛於孔子也시니라